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최근 채권 금리가 오르는 이유
    최신 미국주식 매크로 정보 2025. 5. 20. 13:27
    반응형

     

     

    Short interest(숏 인터레스트)란

    '공매도 잔량' 또는 '공매도 미상환 잔고'를 의미합니다.
    즉, 투자자들이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시장에 판 뒤, 아직 다시 사서 갚지 않은(커버하지 않은) 주식의 총 수량을 말합니다

    좀 더 쉽게 설명하면,

    • 어떤 주식이 있다고 할 때, 누군가가 그 주식을 빌려서 시장에 팔고, 나중에 가격이 떨어지면 다시 사서 갚으려고 한다면, 이 빌려서 판 주식의 수가 바로 short interest입니다
    • 예를 들어, A회사의 주식이 1000만 주가 있는데, 이 중 100만 주가 공매도 상태라면 short interest는 100만 주, short interest 비율은 10%가 됩니다

    Short interest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투자자가 해당 종목의 하락에 베팅하고 있다는 뜻이고, 반대로 short interest가 낮아지면 공매도 세력이 줄어드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short interest 수치와 함께 자주 쓰이는 용어로 Short Interest Ratio(공매도 잔고 비율, Days to Cover)가 있는데, 이는 공매도 잔량을 일일 평균 거래량으로 나눈 값으로, 공매도 투자자들이 모두 주식을 다시 사서 갚으려면 며칠이 걸리는지를 나타냅니다

    정리하자면,

    • Short interest = 빌려서 팔았지만 아직 되갚지 않은 주식의 수
    • Short interest 비율 = (공매도 잔량 ÷ 전체 발행 주식 수) × 100
    • Short interest ratio = 공매도 잔량 ÷ 일일 평균 거래량

    공매도 잔량이 많으면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 있고, 반대로 주가가 오를 경우 '쇼트 스퀴즈'가 발생할 위험도 커집니다

     

     


     

    TLT(미국 20년 만기 국채 ETF)의 공매도 포지션(숏 포지션)이 1억 3,000만 주를 넘어서 지난달 1억 700만 주에서 크게 증가했습니다. TLT의 전체 유통 주식 수는 5억 4,100만 주입니다. 이에 따라 공매도 비율은 20%에서 24%로 올랐습니다. 또한 TLT의 ‘커버 일수(공매도 잔고/평균 거래량)’는 거의 3.5일에 달합니다. 이는 지난 15년간 ETF에서 가장 두드러진 공매도 포지션이라는 점을 그래프가 보여줍니다.

     

    이게 의미하는 바는?

    첫째, 최근 채권 금리가 오르는 이유를 설명해줍니다. 금리 상승에 베팅하는 배경에는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그리고 의회에서 논의 중인 재정적자 지출안에 대한 실망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스토리(내러티브)들은 실제 사실이 아니라 ‘기대’에 근거한 것입니다. 대부분의 대형 주식이나 ETF의 공매도 비율은 5% 이하인 반면, TLT는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만약 금리가 떨어지거나 경제 상황이 약화되거나, 내러티브가 바뀌면 큰 규모의 ‘쇼트 스퀴즈(공매도 잔고가 급히 청산되는 현상)’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속담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모두가 배의 한쪽에 몰려 있으면, 반대편으로 움직여라. (즉, 너무 한쪽으로 쏠린 투자에는 위험이 있다.)


    알기 쉽게 설명

    • TLT는 미국 20년 만기 국채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ETF입니다.
    • 최근 TLT를 공매도(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투자자가 급증해, 전체 유통 주식의 24%나 공매도에 걸려 있습니다. 이는 매우 이례적으로 높은 수치입니다.
    • 보통 이런 공매도 비율이 높으면, 투자자들이 TLT 가격이 더 떨어질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 하지만 너무 많은 사람이 같은 방향(하락)에 베팅하면, 반대로 가격이 오를 때(금리 하락 등) 공매도 투자자들이 손실을 막기 위해 매수에 나서면서 ‘쇼트 스퀴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TLT 가격이 급등할 수 있습니다.
    • 현재 채권 금리 상승에 대한 기대는 인플레이션 우려, 재정적자 확대 등 ‘기대’에 근거하고 있지만, 실제로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 결론적으로, 한쪽으로 쏠린 투자(공매도)가 많을수록 반대 방향의 급격한 움직임(쇼트 스퀴즈)이 나올 위험도 커진다는 점을 경계하라는 내용입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