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기별 실적 발표에서 경기 침체를 언급한 S&P 500 기업의 비율최신 미국주식 매크로 정보 2025. 5. 8. 14:15반응형
S&P 500 기업 중 실적 발표에서 '경기 침체'를 언급한 비율은 24%로 급격히 증가하여 긍정적인 수익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S&P 500 기업의 어닝 서프라이즈
Frequency of S&P 500 arnings surprises
이번 분기 실적 시즌은 기업 수익성의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S&P 500 기업 중 51%는 1분기 실적 예상치를 최소 1% 이상 상회했고, 12%는 1% 이상 하회했습니다.
조정(Corrections) 중 S&P 500 평균 수익률
약세장(bear markets)에서는 급격한 랠리가 흔하지만 이후 주요 하락 추세가 다시 나타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진정한 바닥을 알리는 경우는 드뭅니다. 많은 투자자는 2025년 미국 증시의 방향이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생각합니다.Bear Market (약세장)
- 주식 등 자산 가격이 최근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 약세장은 보통 투자자 심리가 위축되고, 경기 침체와 맞물려 장기간(보통 1년 이상) 지속될 수 있습니다
- 경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주며, 투자자들은 비관적 심리를 보입니다
Bull Market (강세장)
- 자산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시장을 뜻합니다.
- 일반적으로 최근 저점 대비 20% 이상 상승하면 강세장으로 간주합니다.
- 경제 성장, 낮은 실업률, 기업 실적 호조 등 긍정적 지표와 함께 나타나며, 투자 심리도 낙관적입니다
Correction (조정)
- 최근 고점 대비 10~20% 정도의 일시적 가격 하락을 의미합니다.
- 조정은 보통 몇 주~몇 달 내에 회복되며, 시장의 과열을 식히는 건강한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조정은 강세장(상승장) 중에도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차이점 요약
구분 조정 (Correction) 약세장 (Bear Market) 강세장 (Bull Market) 하락/상승폭 10~20% 하락 20% 이상 하락 20% 이상 상승 기간 보통 2~4개월 보통 1년 이상 수개월~수년 이상 경제 영향 제한적 상당히 부정적 긍정적 투자심리 신중/조심 비관적 낙관적 즉, 조정은 단기적이고 제한적인 하락, 약세장은 장기적이고 큰 폭의 하락, 강세장은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상승을 의미합니다
반응형'최신 미국주식 매크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5.07 AAII 투자자 감정 설문조사 (1) 2025.05.08 시장 불황 지표: 노이즈에서 신호 분석 (3) 2025.05.08 '25.05.08 Fed 파월 발언 요약 (0) 2025.05.08 시타델의 그리핀, 관세를 "고통스러운 역진적 세금"이라며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을 키운다 (0) 2025.05.08 골드만 삭스, 미국 인플레이션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 (0) 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