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4-07-31 미국주식 매크로
    Daily 글로벌 마켓 & 미국주식 매크로 2024. 7. 31. 09:10
    반응형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서 채용공고 수는 818만 개로 5월 823만 개보다 감소

    • 월가가 기대한 800만 개보다는 훨씬 많았습니다. 노동시장이 냉각되고 있는 게 아닌 것이죠. 채용공고 수치가 나온 직후 시장 금리는 2~3bp가량 올랐습니다.

     

    • 그러나 세부내용은 그리 강하진 않았습니다.
      1. 818만 개의 채용공고 수는 팬데믹 이전보다 여전히 많은 것입니다. 하지만 실업자 1인당 채용공고 수는 1.20개로 팬데믹 직전과 같은 수준(1.19개)으로 낮아졌습니다. 노동시장의 긴축 상태가 완화됐음을 뜻합니다.

      2. 채용공고는 민간 분야에서는 10만2000개 줄었습니다. 제조업에서는 10만 개가 추가 감소했고 금융, 교육, 의료까지 광범위했습니다. 그런데 정부 부문에서 5만6000개가 늘어난 덕분에 전체적으로는 4만6000개 감소에 그쳤죠. 또 채용공고는 음식 및 숙박 서비스(12만 개) 등 여름 계절적 수요가 많았습니다.

      3. 채용은 전달보다 5.6% 감소한 530만 건으로 팬데믹 이후 최저에 그쳤습니다. 채용률은 3.4%로 5월 3.6%보다 하락했습니다.

      4. 퇴직도 509만 건으로 5월 540만 건보다 줄었습니다. 퇴직률도 3.2%로 전월의 3.4%보다 낮아졌고요. 퇴직은 자발적 퇴직과 해고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근로자들의 노동시장에 대한 자신감을 대변하는 자발적 퇴직(이직)은 3.3% 감소한 380만 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직률은 반올림 기준으로는 2.1%(2.148%에서 2.069%)로 유지됐는데요. 팬데믹을 제외하면 2018년 1월 이후 최저 수준입니다. 해고도 10.7% 감소한 150만 건으로 2022년 말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 네드 데이비스 리서치는 "이는 기업들이 채용을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직원들은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일자리 및 경제 성장의 둔화를 의미하지만, 경기 침체는 아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 웰스파고는 "JOLTS 데이터가 노동시장이 관리 가능한 속도로 냉각되고 있음을 보여줬지만 경고 신호는 계속 울리고 있다. 노동 수요는 소수 산업에만 집중되어 있고, 근로자들은 노동시장에 대한 자신감이 떨어지자 제자리에서 웅크리고 있다. 또 기업들은 신규 채용을 꺼린다. 이직률 감소가 노동 비용에 미치는 영향은 내일 발표될 2분기 고용비용지수(ECI)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노동시장이 더는 인플레 상향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는 걸 확인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습니다.

     

     

     

     

    콘퍼런스보드의 7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00.3을 기록

    • 6월 수치가 100.4에서 97.8로 하향 조정되면서 전월보다 살짝 올라간 것으로 발표됐습니다.

     

    • 현재 여건 지수는 6월 135.6에서 7월 133.6으로 하락했는데요. 기대 지수는 6월 72.8에서 7월 78.2로 개선됐습니다.
    • 현재 지수에서 기대 지수를 뺀 신뢰 격차(Confidence Gap)가 좁혀졌는데요.
    • 웰스파고는 "신뢰 격차의 감소는 경제의 어려움과 연관 관계가 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정점에서 떨어질때 경기침체가 발생했다 이번에도?
    • 지수보다 월가가 더 주목한 것이 있었는데 일자리에 대한 견해였습니다. "일자리가 풍부하다"라고 답한 응답자 비율이 전월보다 1.4%포인트 감소해 34.1%가 되었고,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0.3%포인트 증가해 16.0%(2021년 3월 이후 최고)가 되었습니다.
    • 여전히 일자리가 많다는 사람이 많지만, 그 차이는 올 1월 이후 13.6%포인트가 좁혀졌습니다.
    • BMO는 "일자리가 풍부하다는 답과 어렵다는 답변의 차이가 3년 반 만에 최저로 좁혀졌다. 4.1% 실업률에 약간의 상향 압력이 있을 수 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 두 경제 지표 모두 겉으로는 멀쩡했지만, 속내는 별로인 것이죠.
    • BMO는 "언뜻 보기에는 소비자 신뢰가 상승하고 채용공고가 여전히 800만 개 이상으로 좋게 나왔지만, 속 내용은 좀 다른 그림이었다. 소비자 지출은 더 둔화할 수 있고, 일자리 성장이 약화하면서 Fed가 9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여전하다"라고 평가했습니다.

     

     

     

    통화정책성명을 다음과 같이 수정 예상

    • 골드만삭스는 "긍정적 인플레이션 뉴스실업률의 추가 상승으로 인해 Fed는 금리 인하에 더 가까워졌다. Fed는 금리를 유지하겠지만, 9월 회의에서 금리 인하를 시사할 가능성이 커졌다"라고 밝혔습니다

    • 내일 통화 정책 성명서 중요 체크 사항

    ① 실업률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실업률이 '약간 상승했지만'(risen slightly but 삽입)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② 2% 인플레이션 목표를 향해 추가적인 적당한 진전(modest further progress )이 있었다→추가적인 진전(modest 삭제)이 있었다

    ③ 두 가지 임무(물가 안정과 완전 고용)에 대한 위험이 더 나은 균형으로 움직여왔다(have moved toward)→더 나은 균형에 이르렀다(are in)

    ④인플레이션이 지속 가능하게 2%로 둔화하고 있다는 확신이 더 커질 때까지 금리를 낮추는 게 적절하지 않으리라고 예상한다(The Committee does not expect it will be appropriate to reduce the target range until it has gained greater confidence that inflation is moving sustainably toward 2 percent)라는 핵심 문장을 →'약간의'(somewhat)의 추가 확신이 필요하다'라는 식으로 바꿀 것이란 겁니다.

     

     

     

     

    만약 내일 일본은행은 금리를 올리고, Fed는 금리 인하를 강하게 시사한다면 양국의 시장 금리 차는 좁혀질 수 있습니다.

    •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여전히 일본 국채 수익률보다 약 3.1%포인트 높지만, 이는 작년 10월의 4.2%포인트 차이보다는 크게 줄어든 것입니다. 이에 따라 엔화 강세가 두드러지면서 다시 엔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지난주 기술주 폭락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요인이죠.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일본 투자자들은 2023년 말 기준으로 4조 달러에 해당하는 외국 포트폴리오 투자를 했습니다.

     

    • ING는 "우리는 내일의 두 사건(일본은행과 Fed)이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한다. 우리는 일본은행이 15bp 금리 인상을 할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는 추가 엔화 강세를 유발하고 조정을 확대할 수 있다. 시카고 선물 시장의 투기적 엔화 공매도 포지션은 7월 23일까지 지난 2주 동안 40% 줄었다. 이 투기적 시장은 7월 초보다 훨씬 더 균형 잡혔다고 평가하는 것이 공정하겠지만, 여전히 상당한 엔화 숏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엔화 숏 포지션 청산에 숏커버링등 엔화가 더 강해지는 상황이 발생됨을 의미)

    • 씨티그룹은 "일본과 미국과의 금리 차이를 줄이는 것이 엔화 강세를 지속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일한 방법일 가능성이 크다. Fed가 금리 인하 주기를 시작하고 일본은행은 금리를 높인다면 상당한 엔·달러 환율 하락(엔화 강세)을 가져올 수 있다. 이는
      ▲엔화에 대한 기록적 매도 포지션의 청산
      ▲일본 주식을 매입한 해외 투자자의 포지션 청산
      ▲일본 연기금과 생명 보험사들의 해외 포지션 청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 엔화 헤지를 통해 일본 주식을 매입한 해외 투자자들은 헤지 비용 증가로 포지션을 풀기 시작할 것이다. 일본 연기금과 생명보험은 일본 국채 수익률이 매력적으로 되면서 해외 자산을 본국으로 돌릴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