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 500 지수의 연간 최대 하락률과 수익률 분석주식 기초 2025. 3. 16. 07:57반응형
연도별 최대 하락률(Max Pullback)과 수익률(S&P 500 Return)을 분석
- 조정은 투자자를 불안하게 할 수 있지만 항상 더 심각한 침체를 알리는 신호는 아닙니다.
- 1980년 이후 S&P 500 지수는 16번의 조정(corrections)을 겪었습니다. 여기서 조정이란 지수가 일정 수준(보통 10% 이상) 하락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 하지만 이 16번의 조정 중 모두가 약세장(bear market)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습니다. 약세장은 보통 지수가 20% 이상 하락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조정이 있었던 해들 중 약세장으로 발전하지 않은 경우, 평균적으로 9.5%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데이터 표현:
- 파란색 막대: 각 연도의 S&P 500 지수 수익률(연초 대비 연말 기준 상승 또는 하락 비율).
- 황금색 다이아몬드: 각 연도의 최대 하락률(해당 연도 중 지수가 최고점에서 가장 많이 떨어진 비율).
주요 연도별 데이터:
- 1980년: 수익률 약 20%, 최대 하락률 약 -10%.
- 1987년: 수익률 약 0%, 최대 하락률 약 -30% (블랙 먼데이로 유명한 해).
- 2008년: 수익률 약 -40%, 최대 하락률 약 -50% (금융위기).
- 2020년: 수익률 약 10%, 최대 하락률 약 -30% (코로나19 충격 후 회복).
- 2022년: 수익률 약 -20%, 최대 하락률 약 -25%.
- 2023년: 수익률 약 20%, 최대 하락률 약 -10%.
- 2024년: 수익률 약 15%, 최대 하락률 약 -5% (예상치).
- 2025년: 수익률 약 10%, 최대 하락률 약 -10% (예상치).
주요 관찰 포인트:
- 대부분의 해에서 최대 하락률은 연간 수익률보다 크지 않거나 비슷한 수준입니다. 이는 시장이 하락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상승하는 경향이 더 크다는 의미이다.
- 전체 기간 평균 수익률: 약 10.3%.
- 전체 기간 평균 최대 하락률: 약 -14.0%.
- 큰 하락이 있었던 해(예: 2008년, 2020년)는 경제 위기나 큰 충격과 관련이 있지만, 일부는 회복하며 양수 수익률로 마감했습니다.
- 최근 몇 년(2022~2024년)은 변동성이 있었지만 회복세를 보였고, 2025년도 안정적인 모습을 예상합니다.
- 최대 하락률이 -10% 이상이라도 약세장(-20% 이상 하락)으로 이어지지 않은 해들이 많았고, 이런 해들의 평균 수익률이 9.5%로 양호했다는 것입니다. 이는 이미지의 전체 평균 수익률 10.3%와도 비슷한 수준으로, S&P 500 지수가 장기적으로 성장하는 경향을 보여줍니다.
투자자들에게 주는 의미:
- 조정은 흔하지만 일시적: 최대 하락률 -14% 정도는 감내할 수 있다면, 평균 10%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장기 투자 중요: 2008년이나 2020년처럼 큰 하락이 있어도 시장은 결국 회복했고, 단기적인 하락에 흔들리지 않는 것이 현명합니다.
- 2025년 전망: 예측치로는 수익률 10%, 최대 하락률 -10%로, 안정적이면서도 성장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반응형'주식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트: 세계 경제 정책 불확실성(1997-2025) (19) 2025.03.18 손절매 주문(Stop Loss Order) : 작동 방식, 장단점, 예시 (27) 2025.03.16 주식 매도세 종료 시기를 '5단계 슬픔'이 예측할 수 있을까? (20) 2025.03.14 미국 주식 시장이 바닥을 쳤는지 여부에 대한 분석 (8) 2025.03.12 불확실성이 명백하게 높아질 때 (4) 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