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두 번째 금리 인하입니다. 특히 통화정책 성명은 매우 비둘기파적이었습니다. "금리는 6월에 평가한 것보다 다소 빨리 인하될 수 있다"라면서 올해 말까지 두세 번 더 내릴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6월 제시했던 것보다 1차례 더 많은 것입니다.
릭스방크는 인플레이션의 지속적 감속과 약한 경제 성장을 이런 결정의 이유로 꼽았습니다.
ING는 "이 모든 것이 크게 놀라운 것은 아니지만, 중앙은행의 입장이 지난 몇 달 동안 얼마나 많이 바뀌었는지는 주목할 만하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캐나다에서는 7월 소비자물가(CPI)가 2.5%로 하락하여 2021년 3월 이후 최저로 떨어졌습니다.
디스인플레이션은 광범위했으며 음식부터 여가, 주거비까지 둔화했습니다.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물가는 2% 목표에 근접했습니다. 이에 캐나다 은행이 이번 달 금리를 추가 인하해야 한다는 주장이 더 힘을 얻었습니다.
RSM은 "올해 인플레이션 수치는 지속해서 기대보다 낮았고 내년에 2%에 도달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금리는 너무 제약적이며 경제 회복을 가능하게 하려면 더 많은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라고 지적했습니다.
내일 아침 10시에 노동통계국(BLS)에서 발표하는 비농업 고용 데이터(2023년 4~2024년 3월)에 대한 연간 벤치마크 개정도 이런 시장 기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월가에서는 BLS의 모델이 낙관적이어서까지 지난 1년간 고용을 50만 개 정도 과장했을 수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JP모건은 이번에 약 36만 개가 하향 조정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요.
골드만삭스와 웰스파고는 그보다 훨씬 많은 최소 60만 개 줄어들 것으로 예상합니다. 골드만삭스는 100만 개에 달할 수도 있다고 추정하고요.
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요? 노동부는 매월 고용주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비농업 고용을 발표하는데요. 이후 고용주가 실제 각 주에 내는 고용세를 기준으로 애초 발표된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닉 티미라오스 기자는 "약 290만 개로 발표된 2024년 3월까지 1년간 일자리 증가가 60만~100만 개가 하향조정된다면 월 24만2000개씩 늘었던 게 실제로는 월 16만~19만 개 증가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게 Fed에게 새로운 정보는 아니다. 이번 수정은 3월 이후 고용에 대한 게 아니며, 그동안 일자리가 과장됐다고 하더라도 이미 Fed 인사들은 그런 얘기를 해왔다. 파월 의장은 지난 6월 '고용 증가가 약간 과장되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라고 발언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실제 Fed에서 가장 강한 '매파'로 꼽히는 미셸 보우먼 이사는 오늘 "작년의 고용 건수가 과장되었을 수 있지만, 실업률 상승이 현재 진행 중인 노동 시장 냉각 수준을 과장했을 가능성도 있다"라면서 "정책 조정을 고려하는 데 있어 신중한 접근 방식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22V리서치의 데니스 드부셰어 설립자는 "투자자들은 큰 폭의 하향 수정이 잭슨홀에서 더 공격적인 금리 인하 신호가 나올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것은 공정해 보인다. 그렇지만 그게 경기 침체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라고 말했습니다.
필라델피아 연방은행의 8월 비제조업 전망지수는 -10.0에서 +8.3으로 상승하면서 강세
그런데 세부 지수 중 고용(정규직) 지수는 -14.9로 2020년 5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고용 지수가 이런 속도로 급락한 것은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2008년) 팬데믹 초기(2020년) 등 두 번밖에 없습니다.
지수가 크게 올랐지만, 신규 주문 지수도 -0.3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고요. 이 데이터는 금리 인하 기대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5주 이내에과매수→극단적 과매도→과매수로 움직임
베스포크 인베스트먼트는 "S&P500 지수는 지난 7월 23일에 마지막으로 과매수 수준에서 마감한 후, 빠르게 매도되어 단 13일 만에 극단적 과매도 영역으로 이동했다. 그러나 이후 거의 같은 속도로 다시 과매수 수준으로 돌아왔다.
시장은 보통 계단을 오르고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오지만, 이번 경우에는 엘리베이터를 두 번이나 이용했다"라고 밝혔습니다. 2차 세계대전 이래 S&P500이 5주 이내에 과매수→극단적 과매도→과매수로 움직인 것은 단 10번뿐이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 옵션 시장의 주식 풋옵션/콜옵션의 비율은 극단적 수준인 0.47까지 떨어졌습니다.
주가 상승을 점치는 콜옵션 매수가 하락을 예상하는 풋옵션에 비해 거의 2대 1 수준으로 몰리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통상 이런 극단적 수준의 비율은 시장 조정을 앞두고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달러는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ICE 달러 인덱스는 0.5% 떨어진 101.375를 기록했습니다. 장중 101.361까지 내려갔습니다.
ING는 "Fed가 9월에 첫 번째 인하를 준비함에 따라 당장은 달러 하락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본다. 달러와 같이 움직이는 미 국채 2년물 금리(스와프금리)가 8월 초보다 40bp 높은데 달러(DXY)는 5일 저점 아래에서 거래되고 있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사실, Fed의 극적 완화(50bp)를 가격에 책정할 이유는 없고, 주식 시장에서는 강력한 반등이 나타났다. 그렇다면 달러는 지금보다는 훨씬 더 강했어야 한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시티그룹은 달러 약세를 예상한 헤지펀드들이 달러 캐리 트레이드에 나서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신흥시장에 투자하기 위해 엔화가 아닌 달러를 빌리고 있다는 겁니다.
시티그룹의 크리스티안 카시코프 FX 퀀트 솔루션 헤드는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달러에 대한 심리가 훨씬 더 약세로 돌아서는 것을 보았다. 사람들이 금리 인하에 대해 추측하는 환경이 위험 감수성을 부추기고 있다. 이는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으로 세계 시장이 흔들렸던 이번 달 초 이후 반전"이라고 말했습니다.
카시코프는 미국과 일본의 금리 차이가 좁혀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헤지펀드들이 엔화 대신 달러를 선택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올해 최저 수준에서 거래되는 달러를 빌려 브라질 헤알, 터키 리라 등 신흥시장 통화를 매수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미국 대선 등으로 인해 변동성이 다시 급증할 수 있으므로 글로벌 캐리 트레이드가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기간은 짧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카시코프는 말했습니다.
전반적으로는 긍정적인 뷰가 월가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메릴 | 크리스 하이지 최고투자책임자(CIO)
올해 남은 기간 증시를 계속 긍정적으로 보는데요. 이유를 네 가지로 제시했습니다.
① 기업들의 이익 기대치가 탄탄할 뿐만 아니라 다시 상승하기 시작했다. ② 경제 성장세가 여전히 견고한 상황에서 Fed가 조심스러운 금리 인하 사이클에 진입하려 하고 있다. ③ 8월 초 변동성이 높던 기간에도 회사채 스프레드(국채와의 금리 차이)는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현재는 다시 매우 적은 수준으로 돌아갔다. ④ 유가와 가스 가격도 여전히 안정적이다.
그는 "이러한 모든 요소가 '연착륙' 환경에 이바지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주식 밸류에이션이 하락할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이지 CIO는 또 "매그니피선트 7 이외 S&P493개 종목의 이익 기대치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에 랠리에 참여하는 종목이 증가하면서 시장의 폭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올해 남은 기간에 긍정적인 신호"라고 밝혔습니다.
골드만삭스 | 토니 파스쿼릴로 헤지펀드 담당 헤드
CNBC 인터뷰에서 "지금 시장의 강세장 내러티브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① 2분기 이익 성장이다. 이익은 전반적으로 예상보다, 걱정했던 것보다 더 잘 나오고 있다. ② 경제 성장이 지속 가능하리라는 것이다. 골드만삭스는 하반기 GDP 성장률을 2.5%로 예측한다. ③ Fed는 향후 18개월 동안 기본적으로 200bp에 달하는 금리 인하에 나서기 직전에 있다.
파스쿼릴로 헤드는 "이는 강세장에 대한 매우 견고한 기반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도이치뱅크
최근 조정 배후에 있는 촉매가 반드시 사라진 것은 아니라고 경고했습니다. 그러면서 투자자들이 주시해야 할 5가지 주요 위험을 설명했습니다.
① 주식 밸류에이션은 여전히 역사적 고점에 있으며, 시장은 적당히 과매수 영역에서 거래되고 있다. ② 경제 데이터는 여전히 취약하다. 8월 초 급락 원인 중 하나는 예상보다 부진한 7월 고용보고서였다. 추가로 실망스러운 데이터가 나온다면 더 큰 일이 생길 수 있다. ③ 통화정책은 실질적으로 점점 더 긴축되고 있다. 실질 금리는 2007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④ 9월은 지난 몇 년 동안 주식에 계절적으로 나쁜 달이었다. S&P500은 4년 연속 9월에 하락했고, 지난 10년 중 7년 동안 하락세를 보였다. 9월은 채권에도 지난 7년 동안 나쁜 달이었다. ⑤ 지정학적 긴장이 여전히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