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 500 최대 낙폭과 경기침체의 관계 분석최신 미국주식 매크로 정보 2025. 4. 22. 08:58반응형
핵심 요약
- S&P 500 지수는 미국 경제가 경기침체(recession)에 진입할 때 연간 최대 하락폭(drawdown)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이미지에서 파란색 막대는 해당 연도에 미국이 경기침체를 겪었음을 나타내며, 이 시기 S&P 500의 하락폭이 회색(비침체기)보다 훨씬 큽니다.
- 최근 50년간 주요 경기침체기(예: 1973-74, 2008, 2020)에는 S&P 500이 -30%~ -50%까지 하락한 사례가 반복적으로 관찰됩니다.
연도 경기침체 여부 최대 하락폭 (대략) 1973-74 O (침체) -45% 1980-82 O (침체) -25% 2001-02 O (침체) -30% 2008-09 O (침체) -50% 2020 (코로나) O (침체) -30% 평상시 X -10% ~ -20% - 파란색 막대(침체기)에서 하락폭이 유독 심하며, 회색 막대(비침체기)에서는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트럼프 관세와 향후 전망
- 만약 트럼프의 관세 정책 등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경기침체에 진입한다면, 과거 패턴에 비추어 S&P 500의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습니다.
- 현재 시장은 경기침체 위험을 완전히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므로, 침체가 현실화될 경우 주가가 더 크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결론
- S&P 500은 경기침체기에 평균적으로 더 큰 하락을 경험합니다.
- 시장이 아직 경기침체 리스크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았다면, 침체 진입 시 추가적인 주가 하락이 예상됩니다.
- 투자자는 경기침체 가능성과 그에 따른 주식시장 리스크에 유의해야 합니다.
반응형'최신 미국주식 매크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씨티, 관세는 미국 경제에 스태그플레이션 충격, 경기침체 가능성 40~45% 전망 (6) 2025.04.23 미국 주식시장 성과와 PCE 성장 기여도 분석 (4) 2025.04.22 트럼프 리스크에 대한 다양한 최신 분석과 전망 (2) 2025.04.22 주식 시장의 실적 추정치에 대한 겉보기 이해하기 📊 (5) 2025.04.21 최신 자료(2025년 4월 기준)로 본 미국 상장 주식옵션 명목 거래대금(노셔널 볼륨) 증가의 의미 (3) 2025.04.20